블로그 이미지
황영찬

Tag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total
  • today
  • yesterday
2017. 11. 10. 14:41 내가 읽은 책들/2017년도

2017-045 고사성어 문화답사기 1  하남 · 산동 편

 

 

강영매 지음

2013, 범우

 

대야도서관

SB126031

 

912

강64ㄱ 1

 

★ 2010년 국립중앙도서관 "휴가철에 읽기 좋은 책 80선" 추천도서

★ 2009년 문화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

★ 2009년 교보문고 추천도서 및 상반기 베스트셀러(인문분야)

 

고사성어는 사람들이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여 온 역사적 원류가 있는 어휘로서 옛사람들의 지혜의 결정체이며 언어 속의 찬란한 보석과도 같다. 중국에서 수천, 수백 년 전에 탄생된 고사성어가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한국에서까지 아직도 그뜻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때 언어의 영원성과 생명력에 새삼 경이로움을 느끼게 된다. 고사성어는 곧 언어 속의 활화석과 같아, 우리가 중국 문화를 연구할 때 풍부한 소재를 제공해 주는 문화 콘텐츠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강영매 姜姈妹

 

충남 예산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국립대만사범대학교 중문학 석사.

대만문화대학교 일문학 석사.

연세대학교 중문학 박사.

현재는 이화여대 통역번역대학원 겸임교수다. 간행물윤리위원회 심의위원을 역임하였다. 동아시아의 인문학과 문화에 연구를 집중시키고 있으며, 특히 한 · 중 · 일의 연극에 관심이 많다. 오랜 유학 생활과 수십 군데에 이르는 중국 박물관 견학 및 유적지 답사가 본서의 집필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논문으로는 <탕현조 모란정 연구>, <이노우에 야스시의 중국 역사소설 연구>, <모란정 시공간 구조 분석>, <모란정과 파우스트의 합창의 의미>, <춘향전과 모란정의 천자문 수용 양상>, <모란정 언어 기교의 해학성>, <모란정에 나타난 화신의 의미와 상징성 고찰>, <한중 공연문화 교류 현황> 등 다수가 있다.

저 · 역서로는 『강영매의 한자여행』, 『한자특강』, 『동양 고전극의 재발견』, 『춘향 예술의 양식적 분화와 세계성』(공저), 『중국통사』(전 4권), 『중국역사박물관』(전 10권), 『중국의 성문화』, 『굴원』, 『채문희』, 『백록원』(전 5권), 『선월』, 『중국인의 꾀주머니』(공역) 등 다수가 있다.

 

차례

 

책머리에

고사성어―문화 콘텐츠의 보고

 

하남성에서 발생한 고사성어

하남성―코끼리가 살았던 곳

 

    은허에서 듣는 망국의 노래                          맥수지가
    은나라의 잔혹한 형벌                                 포락지형
    이 멋진 청동잔에 안 마시고 어쩌랴?            주지육림
    굶어 죽은 충절지사 백이와 숙제                  채미지가
    산을 옮긴 할아버지                                    우공이산
    낙양에 온 못생긴 촌뜨기의 베스트셀러         낙양지가
    낙양―석양이 아름다운 도시
    이 시대에 만나고 싶은 사람                         목인석심
    삼문협에서 사라진 괵나라를 애도하며          순망치한
    함곡관의 닭 울음소리                                  계명구도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쇠꼬리는 되지 말라     계구우후
    악비는 중국의 민족 영웅인가?                     진충보국
    포청천의 얼굴은 왜 검을까?                        철면무사
    하늘이 무너지면 어쩌지?                             기우

산동성에서 발생했거나 그곳과 관련된 고사성어

산동성―성인의 고향

 

    성인의 고향 곡부와 공자 이야기                   위편삼절
    맹자의 고향을 서성이며                               발묘조장
    멀고도 먼 조식의 무덤 가는 길                      재고팔두
    키 작은 안자와 그의 마부                             득의양양
    맛있는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되느니     귤화위지
    맹상군 이야기(1)                                         포의지교
    맹상군 이야기(2)                                         교토삼굴
    중국의 역대 미남자들을 그리며                     문전성시

 

그 밖의 더욱 재미있는 고사성어들

   

    아, 사랑하는 우희여! 어찌해야 좋단 말이냐?  사면초가
    중국의 미남 혜강                                         군계일학
    이 목숨 대신 명검을 만들 수 있다면               간장막야
    중국의 역대 동성연애                                   여도지죄
    용 문화의 최고봉                                          화룡점정
    사합원에서 느끼는 우물 안 개구리                 정저지와
    부러운 우정                                                 백아절현

 

麥秀之歌

보리 이삭이 무성함을 노래한다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함을 한탄함.

麥 : 보리    맥

秀 : 빼어날 수

之 : 갈        지

歌 : 노래     가

 

보리는 점점 자라 이삭이 패고

곡식들은 기름기가 흐르네.

저 포악한 주왕紂王은

나와 화목하지 못하였다네.

- 《사기 · 송미자세가》에서

 

 

은허박물원 정문

갑골문 발견지

은대 수렵 갑골문

하남성 안양에서 출토된 제사와 수렵에 관한 내용이 담긴 붉은 칠 우골각사로, 은왕 무정 시기에 소견갑골에 기록된 각사다. 골편이 거대하고 완전하며 앞과 뒤 양면에 도합 160여 글자를 새겨 넣었다. "구름이 동쪽에서 오고, 무지개는 북쪽에 있다"는 기록 외에도 은왕이 조직했던 대규모 수렵 활동을 기록하고 있어 은대 사회생활에 관한 중요한 자료가 된다.

부호묘 안의 모습

은허박물원 안의 부호 조각상

 

흘러가는 강물은 쉼 없이 흐르건만

그래도 본래의 그 물은 아니어라.

웅덩이에 떠도는 물거품은

부서졌다가 다시 맺어지며

오래도록 머무는 법이 없어라.

이 세상에 사는 사람과 처소도

또한 이와 같을진저.

 

行(ゆ)く川の流れは絶えずして

しかももと(本)の水にあらず.

淀(よど)みに浮ぶうたかた(泡沫)は

かつ消えかつ結びて

久しく止(とゞ)まる事なし.

世の中にある人と住家(すみか)と

また斯かくの如し

- 가모노 조메이의 <방장기方丈記> 첫머리 중에서

 

炮烙之刑

불에 달군 쇠로 단근질하는 형벌로 은(상)나라 주왕紂王 때의 잔인한 사형 방법을 이르는 말.

炮 : 통째로 구을   포

烙 : 지질              락

之 : 갈                 지

      여기서는 '~의'의 뜻임

刑 : 형벌              형

 

▲ 은허박물원의 유리 무덤

▼ 은허박물원의 유리 무덤 속의 인골

비간의 사당

하남성 위휘성衛輝城 북쪽 7.5킬로미터 지점에 있다. 비간은 상대 말의 대신으로 주왕의 숙부였는데 강력하게 주왕을 간하다가 주왕에게 심장을 해부당하고 죽었다.

주 문왕이 《주역》을 엮었다는 연역방

중국 최초의 국가 감옥 중 하나. 주 문왕이 이곳에 7년간 감금되어 있을 때 《주역》을 엮었다고 한다. 하남성 탕음 유리성에 있다.

목야전투(상상도)

운뢰문월雲雷紋鉞

상대 후기 병기로 전체 높이는 36.8cm다. 직내直內식으로, 날이 위치한 원援 부분은 사각형이며, 활 모양의 넓은 날이 있는데 양쪽 모서리가 밖으로 퍼져 있다. 손잡이 쪽인 난闌 부분에는 대칭을 이루는 장방형 구멍이 두 개 뚫려 있다. 원 부분의 가장자리에는 운뢰 문양이 두 쌍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이빨 모양의 구멍이 투각되어 있다.

 

酒池肉林

술이 연못을 이루고 고기가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화롭고 사치스런 주연酒宴을 비유하는 말.

酒 : 술     주

池 : 못     지

肉 : 고기  육

林 : 수풀  림

 

상아에 기를 조각하고 금도금을 한 잔

하남성 안양 은허의 부호묘에서 출토되었다. 전체적으로 아주 세밀하게 도철문을 조각했으며 터키석을 상감했다. 고대 상아 조각의 걸작품이다.

사준豕尊

상준象尊

호남성 예릉에서 출토되었다. 코끼리의 코는 위를 향해 뻗어 있으며, 용 같기도 하고 낙타 같기도 한 형상이다. 굵고 튼튼한 다리와 몸체의 바퀴 무늬는 신비스러움과 힘의 상징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에 남방에서는 이미 야생 코끼리를 부렸다는 기록이 있다.

 

采薇之歌

고사리 캐는 노래라는 뜻으로 절의지사節義之士의 노래를 이르는 말.

采 : 캘          채

薇 : 고사리    미

之 : 갈, ~의   지

歌 : 노래        가

 

송대 이당李唐의 <채미도>

이 그림은 이당이 만년에 그린 불후의 인물화다. 백이와 숙제가 수양산에서 고사리를 캐어먹다가 굶어 죽은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 두 사람이 앉아 이야기하는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형형한 눈빛과 주위의 소나무가 이들의 강직한 성격을 나타내준다.

 

고비

채미의 미는 고사리인가 고비인가?

우리는 일반적으로 채미를 '고사리를 캔다'는 뜻으로 써 왔다. 필자도 본문에서 옛사람들의 의견에 따라 그대로 고사리로 썼다. 그러나 《시경식물도감》이라는 책을 보면 우리가 쓰는 미薇는 고비로 쓰는 것이 맞다. 또한 옥편에도 고비로 나온다. 중국에서 말하는 미는 현재는 들완두라고 하는데 식용을 할 수는 있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고사리는 아니다. 우리가 말하는 고사리는 궐蕨로 쓴다.

 

백이

 

낙양성 십리허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영웅호걸이 몇몇이고

절세가인이 그 누구냐

우리네 인생 한번 가면

저기 저 모양 될 터이니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 <성주풀이>

 

의자왕과 부여웅의 묘

 

채미정

 

愚公移山

쉬지 않고 꾸준히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

愚 : 어리석을   우

公 : 공             공

移 : 옮길          이

山 : 산             산

 

마을의 요동들

이런 요동은 주로 가축을 기르거나 곡식을 저장하는 데 쓰인다.

황토고원의 다양한 형태의 요동

 

洛陽紙價

책이 호평을 받아 잘 팔리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洛 : 물 이름   락

陽 : 볕          양

紙 : 종이       지

價 : 값          가

 

초가집 바라보면 그녀가 생각나고

방에 들어서면 그녀와 함께한 날들이 떠오르네.

휘장과 병풍엔 비슷한 모습조차 없으나

그녀가 남긴 글 속엔 그녀의 자취 남아 있어라.

흐르는 향내 아직 마르지 않았고

벽에 걸린 글씨 보면 벽에 기대서 있는 듯

- <도망시悼亡詩>

 

낙양 모란

 

봉선사 노사나불

용문 최대의 불상으로 총 높이는 17.14m. 얼굴 모습이 풍만하고 윤기가 흐르며 엄숙하고 전아하다. 무측천을 모델로 하였다는 설이 있다.

백거이묘

 

중국 제일 고찰 백마사

 

木人石心

나무나 돌처럼 마음이 굳다는 뜻으로 의지가 강하여 세속에 휩쓸리지 않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木 : 나무      목

人 : 사람      인

石 : 돌         석

心 : 마음      심

 

脣亡齒寒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말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라는 뜻.

脣 : 입술      순

亡 : 잃을      망

齒 : 이         치

寒 : 찰         한

 

괵국박물관

 

괵국박물관 벽면 부조

 

발굴된 괵공가의 묘

괵국박물관 소장품

 당 · 장훤長萱 · <괵국부인 유춘도游春圖>

 

鷄鳴狗盜

고상한 학문은 없고 천박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사람을 이르는 말.

鷄 : 닭         계

鳴 : 울         명

狗 : 개         구

盜 : 훔칠      도

 

함곡관

함곡관 성루

함곡관에 있는 노자 조각상

<노자수경도老子授經圖>

춘추시대의 인물인 노자는 후대 도교 신도들에 의해 신격화되어 교주로 받들어졌으며, 중국의 다원신多元神 계통 안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 그림은 노자가 소나무 아래에 있는 평상에서 경經을 강의하는 모습이다. 신선의 풍채와 도사의 풍격을 지닌 노자의 모습에서 '천존天尊'의 기품이 드러난다.

 

鷄口牛後

큰 조직의 말석을 차지하기보다 작은 조직의 우두머리가 되는 편이 낫다는 뜻.

鷄 : 닭      계

口 : 입      구

牛 : 소      우

後 : 뒤      후

 

곽말약이 쓴 황제릉

신정에 있는 헌원 황제상

신정시에 있는 염황이제상

정주시 황하풍경 지역에 있는 염황이제상

 

盡忠報國

충성을 다해 나라의 은혜에 보답한다는 뜻.

盡 : 다할    진

忠 : 충성    충

報 : 갚을    보

國 : 나라    국

 

항주 악비 사당 벽에 쓰여있는 진충보국

악비 · 악운 부자의 묘(항주 악비사당에 있다)

악비의 어머니가 악비 등에 '진충보국'이라고 새기는 모습

악비 좌상

좌상 위의 글은 '환아하산'

악비 사당(하남성 주선진)

영원히 무릎 꿇고 있는 진회와 간신들

요우타오油條

중국인들이 아침으로 두유와 함께 먹는 음식이다. 본래 유작회油炸檜에서 유래하였다. 유작은 '기름에 튀긴다'는 뜻이고, 회檜는 진회를 말한다.

 

鐵面無私

사사로운 정에 구애되지 않고 공정하다는 뜻.

鐵 : 쇠             철

面 : 낯             면

無 : 없을          무

私 : 사사로울   사

 

1056년에 신임 지부인 포증이 개봉부에 부임하였다. 개봉부는 하남성 개봉에 있다.

포공사包公祠

포공은 청빈하고 공정한 관리로 세상에서는 그를 '포청천包靑天'이라고 불렀다. 그를 기념하기 위하여 각지에서는 포공 사당을 건립하였다. 그림은 절강성 소흥에 있는 포공사다.

 

<찰미안>의 한 장면을 묘사한 청대 그림. 뒤에 마한, 포청천, 왕조가 있고, 왼쪽에 진향련과 두 아들이 있다.

<찰미안>의 한 장면

진향련

세 개의 작두

개작두 : 일반 백성을 처단하는 작두. 범작두 : 관리를 처단하는 작두. 용작두 : 왕실 친척을 처단하는 작두.

의식 장면

개봉부 앞에서는 관광객을 위하여 포청천이 재판을 하는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경극 속의 포공 형상

경극의 각종 얼굴 분장

 

杞憂

쓸데없는 걱정, 안 해도 되는 근심을 이르는 말.

杞 : 기나라 이름    기

憂 : 근심               우

 

이윤

 

韋編三絶

독서에 힘씀을 이르는 말.

韋 : 가죽       위

編 : 엮을       편

三 : 석          삼

絶 : 끊을       절

 

죽간

죽간이 모여 책冊이 되었다.

 

공자의 모습

공자는 앞짱구에 뻐드렁니였다고 한다.

 

은작산 죽간박물관

대량 발굴된 서한시대의 죽간이 전시되어 있다.

 

공묘

 

공묘 대성전

 

공림 표지

 

공림의 대문

 

자공이 시묘를 한 곳

 

拔苗助長

급하게 서두르다 오히려 일을 망친다는 뜻.

拔 : 뺄             발

苗 : 싹             묘

助 : 도울          조

長 : 긴             장

 

맹묘 · 맹부 표지

1988년에 국가중점문물로 선정되었다는 표지.

 

아성 패방

마을 입구에 아성이라고 크게 쓰인 패방이 세워져 있다.

 

이문二門의 문관신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이문이 있다. 문 양쪽에 문관의 문신이 붙어 있다.

 

'오경박사', '세습 한림원', '아성부'라고 쓰인 팻말이 공무를 보는 청사 안에 있다.

"정숙! 물렀거라!"라는 뜻의 '숙정', '회피'라고 쓰인 팻말이 청사 안에 있다.

 

才高八斗

재주의 뛰어남이 여덟 말이라는 말로 문인의 재주가 뛰어나다는 뜻.

才 : 재주        재

高 : 높을        고

八 : 여덟        팔

斗 : 말           두

 

조조, 조비, 조식의 조각상

 

煮豆持作羹, 漉菽以為汁(자두지작갱, 록숙이위즙)

萁在釜下然, 豆在釜中泣(기재부하연, 두재부중읍)

本是同根生, 相煎何太急(본자동근생, 상전하태급)

 

콩을 삶아 국을 끓이려고

된장을 걸러 국물을 만들었네.

콩대가 솥 밑에서 타니

콩이 솥 안에서 우네.

본래 한 뿌리에서 나왔는데

어찌 이다지 급히 삶아 대는가?

- 조식, <칠보시七步詩>

 

<낙신부도권>

 

<낙신부도권> 일부

 

得意揚揚

뜻한 바를 이루어 우쭐거리며 뽐낸다는 뜻.

得 : 얻을      득

意 : 뜻         의

揚 : 오름      양

揚 : 오름      양

 

치박시에 있는 고차박물관 내의 모습

 

어수용

 

橘化爲枳

남방의 귤나무가 회수 이북으로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되듯이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비유한 고사.

橘 : 귤             귤

化 : 화할          화

爲 : 될             위

枳 : 탱자          지

 

임치는 제나라의 수도였다.

 

布衣之交

구차하고 보잘것없는 선비였을 때의 사귐, 또는 그렇게 사귄 벗을 이르는 말.

布 : 베         포

衣 : 옷         의

之 : 갈         지

交 : 사귈      교

 

제국역사박물관

 

맹상군 능원

맹상군의 묘

 

맹상군 아버지 전영의 묘

 

狡兎三窟

꾀 많은 토끼가 굴을 세 개나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뜻으로 교묘한 지혜로 위기를 피하거나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준비를 해야 한다는 말.

狡 : 교활할        교

兎 : 토끼           토

三 : 석              삼

窟 : 구멍           굴

 

설국 고성

 

서비홍의 <전횡오백사>

 

서비홍 기념관

서비홍(1895~1953)은 인민예술가의 칭호를 받은 유명 화가. 중국 현대미술의 기초를 다졌다. 특히 말 그림이 유명하다.

 

서비홍 탄생 90주년 기념우표

 

門前成市

문 앞에 마치 시장이 선 것 같다는 뜻으로 세력이 있어 찾아오는 사람이 매우 많음을 나타내는 말.

門 : 문           문

前 : 앞           전

成 : 이룰        성

市 : 저자        시

 

난릉왕 가면극

 

난릉왕 조각상

 

중국 최고의 경극 배우 매란방

 

청말 민국초의 4대 미남

왕정위, 주은래, 매란방, 장학량.

 

四面楚歌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인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

四 : 넉          사

面 : 낯          면

楚 : 초나라    초

歌 : 노래       가

 

경극 <패왕별희>의 한 장면

 

경극 <패왕별희> 속의 우희

 

力拔山兮氣蓋世(역발산혜기개세) 힘은 산을 뽑고 기세는 세상을 덮지만

時不利兮騶不逝(시불이혜추불서) 때는 불리하고 추는 가지 않누나

騶不逝兮可奈何(추불서혜가내하) 추가 가지 않으니 어찌하리

虞兮憂兮奈若何(우혜우혜내약하) 우희여 우희여 어찌할거나

 

경극에 사용되는 각종 얼굴 문양

 

群鷄一鶴

닭의 무리 속에 끼어 있는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여러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뛰어난 한 사람이 섞여 있음을 이르는 말.

群 : 무리       군

鷄 : 닭           계

一 : 한           일

鶴 : 학           학

 

죽림칠현

 

干將莫耶

중국 춘추시대 간장이 만든 두 자루의 명검.

干 : 방패       간

將 : 장수       장

莫 : 없을       막

耶 : 어조사    야

 

오왕 부차의 창

 

상앙의 극

극은 갈고리 모양의 무기로 창과 흡사한 형태다. 날이 위치한 부분인 원援은 길고 위쪽으로 약간 구부러졌으며 위아래에 날이 있고 가운데 부분이 불룩하게 솟아 있다. 이 극에는 '주 현왕 13년 대량조 상앙이 제조한 극(十三年大良造鞅之造戟)'이란 명문 10자가 새겨져 있다.

 

동검銅劍

 

중국의 10대 명검

 

제1검 헌원하우검軒轅夏禹劍

제2검 담로湛盧

제3검 적소赤霄

제4검 태아泰阿

제5검 칠성용연七星龍渊

제6, 제7검 간장막야干將莫邪

제8검 어장魚腸

제9검 순균純鈞

제10검 승영承影

 

월왕 구천의 검

월나라 왕 구천은 춘추시대의 마지막 패자로 초나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초 혜왕惠王의 어머니가 바로 구천의 딸이었기 때문에 구천의 검이 초나라로 가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초나라가 위왕威王, 회왕懷王 시기에 월나라를 멸했기 때문에 어쩌면 이 검을 전리품으로 함께 매장했을지도 모른다.

 

餘桃之罪

먹다 남은 복숭아를 먹인 죄라는 말로 총애를 받던 일이 나중에는 죄의 근원이 된다는 뜻.

餘 : 남을          여

桃 : 복숭아       도

之 : 갈, ~의      지

罪 : 허물          죄

 

애제가 사랑한 동현의 그림이 그려진 꽃병

 

한 애제의 남총 동현

 

畵龍點睛

용을 그린 다음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린다는 뜻으로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치어 일을 끝냄을 이르는 말.

畵 : 그림           화

龍 : 용              용

點 : 점찍을        점

睛 : 눈동자        정

 

용 모양 옥패

 

흥산문화 · 벽옥룡

 

용봉 문양 옥패

 

井底之蛙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넓지 못한 것을 비유.

井 : 우물        정

底 : 낮을        저

之 : 갈, ~의    지

蛙 : 개구리     와

 

산서성의 사합원

영화 <홍등>의 배경이 된 곳.

 

伯牙絶絃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말.

伯 : 맏            백

牙 : 어금니      아

絶 : 끊을         절

絃 : 악기줄      현

 

고금대

고금대古琴台는 또 백아대라고도 한다. 호북성의 무한시 한양현 귀산龜山에 있다.

 

고금대 안에 있는 백아가 거문고를 타는 조각품

(금금을 거문고라고 번역은 하였지만 금과 거문고가 반드시 같은 악기는 아니다)

 

 

 

 

 

 

 

posted by 황영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