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읽은 책들/2011년도

2011-124 노장사상

황영찬 2011. 11. 16. 17:04
2011-124 노장사상

박이문 지음
2006, 문학과 지성사



시흥시립대야도서관
SB036249


152.22
박 68 ㄴ


철---학---적---해---석

노장의 위대성은 2천 년 전 이미 반체제에 나섰던 데에 있고, 그들 나름의 새롭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안한 데에 있다. 그들은 그야말로 호랑이가 담배 먹던 시절에, 유교로 대표되는 기성 체제, 기성 가치를 비판 · 거부하고, 우리들을 향해,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을 보고 그것이 진리인가를 다시 생각해보라고 가르쳐 주었으며,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를 가리키면서 그것이 정말 가치가 있는가를 다시 검토해 보라고 일깨워주었던 것이다. 우리는 노장의 그러한 가르침을 하나의 상징적 거울로 삼아, 우주와 인간의 관계,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새로운 눈으로 보고, 새로운 인간관, 새로운 인생관을 세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익숙한 것과 결별함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눈으로 세계를 바라볼 수 있게 된다. 해묵은 언어로 되풀이되는 고전의 재해석은 독자들을 식상케 할 뿐이다. 그러나 박이문은 분석철학이라는 새로운 눈으로 노장 사상을 바라보고자 한다. 이에 기존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던 노장 사상의 새로운 면모가 자취를 드러낸다. 이 책에서 저자가 노장 사상을 해명하기 위하여 동원하고 있는 '존재의 차원'과 '의미의 차원'이라는 개념은 철학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범주이다. 이 범주는 노장 사상의 해명뿐 아니라, 서양 철학 내에서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논쟁거리들을 해소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_ 이승환(고려대 철학과 교수)

박이문 교수는 노장 사상을 고색창연한 경전이 아닌 살아 숨쉬는 텍스트로서 새로이 이해하고 그 '철학'의 차원, '종교'의 차원, '이념'의 차원을 명쾌하게 해명한다. 이 세갈래 길에서 그가 수행하는 '도' '무위' '소요' 개념의 철학적 분석은 동서 사유의 만남과 가로지르기의 이정표가 되는 중요한 작업으로 꼽힌다.
_ 이승종(연세대 철학과 교수)

박이문(朴異汶)

1930년 충남 아산 출생으로 서울대 불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소르본 대학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미국 남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화여대 불문학과 조교수(1957~1961)를 시작으로 미국 랜슬레어 공과대학 철학과 전임강사(1968~1970), 시몬스 대학 철학과 조교수 · 부교수 · 정교수(1970~1993), 이화여대 및 서울대학교 철학 / 미학과에서 풀브라이트 초청교수(1980~1982), 미국 하버드 대학 교육대학원 철학연구소 선임연구원(1983~1991), 독일 마인츠 대학 초청교수(1985~1986), 일본 인터내셔널 크리스천 대학 초청교수(1989~1990)을 거쳐 시몬스 대학 명예교수 및 포항공대 교양철학부 교수를 역임하였다. 『시와 과학』『현상학과 분석철학』『하나만의 선택』『노장사상』『인식과 실존』『예술철학』『명상의 공간』『삶에의 태도』『철학 전후』『우리 시대의 얼굴』『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환』『이성은 죽지 않았다』『다시 찾은 파리 수첩』『철학의 여백』『이성의 시련』등 40여 권의 저서와 논문이 있으며 『눈에 덮인 찰스 강변』『나비의 꿈』『공백의 울림』등의 시집이 있다.

|차례|

개정판을 내면서
책머리에

1. 문제와 방법
    문제
    방법

2. '도'와 진리
             - 철학으로서의 노장 사상
    존재와 언어
    존재와 '도'
    자연과 도
    존재와 인간
    인식과 직관

3. '무위'와 실천
            - 종교로서의 노장 사상
    공포와 우환
    구원과 해탈
    속세와 열반
    '행위'와 '무위'

4. '소요'와 가치
            - 이념으로서의 노장 사상
    지락과 타락
    비극과 희극
    속죄와 소요

5. 노장과 우리
    역설의 논리
    노장과 우리

부록 도와 이성
            - 동서 철학 : 사유의 두 양상
    '철학'의 개념과 동서 철학 비교의 가능성
    동서 철학의 모체 개념 - '도'와 '이성'
    '도'와 '이성'의 개념 비교 분석

맺음말

참고 도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