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찬 2011. 12. 14. 10:49
2011-136 서예

글 / 선주선●사진 / 주종설
1995, 대원사



시흥시대야도서관
EM013096


082
빛 12 ㄷ 68


빛깔있는 책들 68

선주선------------------------------------------------------------------------

동국대학교와 중국 문화대학 예술대학원을 졸업했다. 대한민국 미술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원광대 서예과(교수)와 경원대 미대 동양화과(강사)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로는 「서예 개론」,「한국미술사전」과 중고등학교 서예 교과서가 있다.

주종설------------------------------------------------------------------------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했다. 대우 기획조정실에서 여덟 해 동안 사진 일을 맡아 했다. 현재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차례|

사진으로 보는 서예
문방사우
    먹, 벼루, 붓, 종이
서예에서 잘 쓰이는 말
전각
서예의 기본 자세
    집필법
    몸 자세
    운필
서체의 종류
    한문 서체
    한글 서체
대표적인 역대 서예가
    중국의 서예가
    우리나라의 서예가
역대의 대표적인 서품
    중국의 대표적인 서품
    한국의 대표적인 서품
임서와 창작
감상과 평론
영자팔법과 한글의 기본 획

▲ 책가도

▲ 먹

▲ 일월연

▲ 침완법. 왼손등에 팔뚝 전체를 대어 베개를 벤듯하게 하고 쓰는 방법이다.

▲ 현완법. 앉아서 팔뚝을 어깨 높이로 들고 쓰는 이상적인 방법인데 대게는 팔꿈치를 책상에 대지 않는 것을 통틀어 말한다. 팔 전체의 활동이 자유스러워서 가장 많이 쓰는 집필법이다.

▲ 제완법. 팔뒤꿈치만 책상에 붙이고 팔뚝을 들고 쓰는 방법이다.

▲ 단구법. 엄지와 검지로만 잡는다.

▲ 쌍구법. 엄지와 검지와 세 손가락으로 잡고 나머지 두 손가락으로 받쳐준다.

▲ 오지법.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을 가지런히 하여 잡는다.

▲ 악필법. 붓을 잡은 모습이 맷돌의 손잡이를 잡은 것과 비슷하다.

▲ 벼루의 부분별 명칭

▲ 새

▲ 역산의 석각. 진나라 시황제(始皇帝)의 송덕비이다. 소전의 전형이다.

▲ 갑골 문자

▲ 예서. 한대(漢代)의 하승비(夏承碑)

▲ 초서. 중국 오나라 때의 문무첩(文武帖)

▲ 행서. 왕희지의 공대중첩(孔待中帖)

▲ 조맹부의 글씨. 현묘관중수삼문기(玄妙觀重修三門紀)

▲ 김생의 글씨이다. 낭공대사비(朗空大師碑)의 부분.

▲ 예기비

▲ 사신비

▲ 중추첩

▲ 정문공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