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황영찬

Tag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total
  • today
  • yesterday

2012-122 반가사유상

 

글 / 황수영●사진 / 황수영, 안장헌

1994, 대원사

 

 

시흥시대야도서관

EM000284

 

082

빛12ㄷ 124

 

빛깔있는 책들 124

 

황수영-------------------------------------------------------------------------

개성에서 출생하여 일본 동경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박물관장, 국립중앙박물관장, 동국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현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 문화재 위원으로 있다.

 

|차례|

 

머리말

반가사유상 양식의 특색

삼국시대의 반가사유상

    고구려의 반가사유상

    백제의 반가사유상

    고신라의 반가사유상

경주 이외 지역의 반가사유상

통일신라 초기의 반가사유상

한국 반가사유상의 일본 전래

미륵불상과 신라의 화랑

맺음말

우리나라 반가사유상 목록

참고 문헌

 

▲ 천룡산 석굴의 수하 반가사유상(부조) 이 반가사유상은 본디 천룡산 석굴(제3굴)의 벽에 장엄되어 잇던 부조상(浮彫像)의 일부이다. 나무 아래에서 깊은 명상에 잠긴 듯 고개를 깊이 숙인 모습이다. 본디 반가사유상이 싯달타 태자의 사유상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이 부조도 그 예의 하나로 볼 수 있겠다. 태자 사유상은 붓다의 전기의 옛 풍습에 따라 파종식에 참여하였을 때 보습에 찍혀 나온 벌레를 새가 날아와 잡아먹는 것을 보고 약육강식이란 현실 세계의 고통을 직접 보고 크게 고뇌한다. 이때 나무 그늘에서 깊이 명상에 잠긴 태자는 시간 가는 줄도 몰랐지만 해가 기울어도 나무 그늘은 싯달타 태자의 주변에만 드리우는 신비한 일이 벌어져 함께 온 모든 사람들이 놀랐다는 것이 '수하관경'의 내용이다. 중국 동위시대. 높이 46.2센티미터. 

▲ 간다라 석조 보살 반가사유상 간다라 지방에서 조성된 석조 반가사유상이다. 광배등에 조금 파손이 있으나 거의 완형을 보여 주고 있어 마투라 출토의 반가사유상과 더불어 인도에 있어서 반가사유상의 원류를 보여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등나무로 만든 의자에 허리를 기대고 오른발은 신발을 벗어 왼쪽 무릎에 얹고 약간 윗몸을 숙여 명상에 잠긴 모습이다. 왼손은 연꽃 한 송이를 들고 있다. 조성 연대는 3세기로 추정. 높이 50.3센티미터. 일본 동경의 송강미술관(松岡美術館) 소장.

▲ 마투라 석조 보살 반가사유상 마투라 양식을 보여 주고 있는 반가사유상이다. 보관 속에 화불(化佛)이 표현되어 있어 매우 흥미롭다. 보관에 화불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경우는 「무량수경」에 따르면 관음보살로 알려져 있어 이 상의 경우도 존명을 관음보살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중국 석굴의 경우 미륵보살에도 보관에 화불이 새겨진 실례가 있으므로 이 상 또한 미륵보살일 가능성도 부인할 수 없다. 조성 시기는 2세기 후반 무렵 추정. 높이 67.4센티미터. 미국 크로노스(Kronos) 소장품.

▲ 로댕의 대표작인 '생각하는 사람' 파리의 로댕미술관에 있는 이 상은 '지옥의 문'의 상부 난간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 평양 평천리 금동 반가사유상 고구려의 옛 수도인 평양의 옛 절터에서 출토된 이 반가사유상은 삼국시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반가사유상 형식이 유행하였음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된다. 턱을 받치는 오른팔이 떨어져 나가 아쉽다. 머리 뒤쪽에는 길쭉한 광배꽂이가 달려 잇다. 국보 제118호. 높이 17.5센티미터. 서울 개인(김동현) 소장.

▲ 부여 부소산 납석제 반가사유상 허리가 잘려 상체는 떨어져 나가고 하반신만 남아 있다. 그러나 왼쪽 무릎에 얹은 반가한 오른발과 그 발목을 잡고 잇는 왼손 그리고 오른쪽 무릎에 남아 있는 흔적 등으로 미루어 반가사유상임을 알 수 있다. 아래쪽 끝부분에 타원형의 돌출부가 잇고 내려뜨린 왼쪽 다리 밑부분 역시 구멍이 나 있어 이 상을 받치는 대좌 부분이 따로 만들어졌음을 짐작케 한다. 높이 13.5센티미터.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 방형 대좌 금동 반가사유상 안상이 새겨진 방형의 대좌 위에 다시 팔각형의 괴임을 두고 그 위에 길쭉한 꽃잎이 아래로 피어난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모습. 또 줄기가 달린 조그만 연꽃 한 송이가 피어 올라 왼발을 받치고 잇는 표현도 멋잇다. 가는 허리와 X자로 교차된 영락 장식이 매우 이 상을 이채롭게 한다. 가는 허리를 비롯해 여러 면에서 백제인의 솜씨를 엿보게 한다. 보물 제331호. 높이 28.5센티미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방형 대좌 금동 반가사유상(부분) 보관을 잃어버려 큼직하게 들어올린 보발이 드러나 보이며, 머리 앞과 좌우에 난 세 개의 구멍은 보관을 고정시켰던 못구멍이라고 짐작된다.

▲ 서산 마애 삼존불 전경(위)과 반가사유상(아래) 이 삼존불은 충남 서산의 가야산 계곡 가운데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이웃한 태안 마애 삼존불(보물 제432호),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보물 제794호) 등과 더불어 백제 문화의 참모습을 보여 주는 귀중한 작품이다. 곧 이들이 자리한 지리적 위치는 태안반도에서 백제의 도읍지인 부여로 이어지는 옛날의 중요한 길목에 자리하고 있어 중국과 빈번한 교통이 이어지던 교통로인 까닭에 화려한 문화의 꽃이 피었던 것이다. 이 삼존불은 구도상에서도 매우 다른 특색을 보여 주고 있다. 곧 여래 입상을 가운데 두고 왼쪽에 반가사유상이, 오른쪽에는 보살 입상이 각각 배치되어 잇다. 특히 여래의 왼쪽에 자리한 반가사유상은 신라 지역의 단석산 마애 반가사유상과 더불어 제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또한 대좌와 광배를 모두 갖추고 있어 우리나라 반가사유상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국보 제84호. 삼존불 높이 2.8미터. 반가상 높이 1.66미터.

▲ 김제 대목리 동판 반가사유상 이 동판 반가사유상은 여래삼존상과 공양자상 그리고 화불로 보이는 인물 군상의 동판상과 더불어 백제의 옛 땅인 전북 김제에서 출토되었다. 반가사유상은 독존상이 아니라 좌우에 나한상이 시립한 삼존 형식인 점도 특색이다. 뿐만 아니라 반가사유상의 뒤쪽에 보이는 병풍을 펼친 듯한 장식은 일본 광륭사의 목조 반가사유상의 뒷장식과 유사하여 흥미로운데, 이는 앞서 간다라 출토의 석조 반가사유상에서 보이는 등나무로 만든 대좌와도 연결되고 있어 매우 고식의 모습이라고 생각된다. 크기는 가로 6.4센티미터, 세로 6.4센티미터. 두께 0.6센티미터. 국립전주박물관 소장.

▲ 연기군 비암사 비상의 미륵보살 반가 석상 납석으로 만든 이 석상은 그 생김새가 탑비(塔碑)와 닮았다고 하여 비상(碑像)이라고 일컬어진다. 이러한 비상은 중국 동 · 서위 시대에서 비롯되어 수 · 당시대까지 유행하였으며, 우리도 이 영향을 받았다. 대좌와 사면석 그리고 용이 새겨진 옥개(탑비에서 螭首라고 함)가 모두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잇다. 이 석상은 1960년에 충남 연기군에 있는 비암사에서 '계유명 전씨 아미타불삼존 석상'(국보 제106호) '기축명 아미타여래제불보살 석상'(보물 제367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장방형의 사면석에는 앞쪽에 반가사유상, 뒤쪽에 보탑 그리고 좌우에는 공양자상이 각각 새겨져 있다. 보물 제368호. 높이 41센티미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연화사 무인명 석불상과 대좌 이 비상은 대좌와 사면석이 각기 따로 만들어져 조립된 구성을 갖추고 있는데 현재 개석은 잃어버렸으며, 지금의 대좌도 제짝은 아닌 듯하다. 납석제의 사면석은 앞쪽에 아미타오존상, 뒤쪽에 미륵삼존상을 새겼고, 좌우의 측면은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모습인데 그 중앙에 행간을 민들고 명문을 음각하였다. 뒤쪽의 미륵삼존상은 주존이 반가사유상이고 그좌우엔 향로로 생각되는 지물을 든 보살상이 서 있다. 삼존상의 뒷배경이 되는 공간을 격자무늬로 채운 점도 눈길을 끈다. 또한 양쪽의 아미타오존이나 반가사유상면 모두 아래쪽에 물결무늬를 새기고 그 속에서 피어난 연꽃을 새기고 잇어 연못을 상징하고 있다고 보는데 특히 양측면에 卍자무늬의 난간을 나타내고 있어 흥미롭다. 앞쪽에는 아미타오존을, 뒤쪽에는 미륵삼존을 배치하고 있는 점은 당시 불교 신앙의 추세를 반영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보물 제649호. 비상 높이 52.4센티미터. 연기군 서면 연화사에 봉안.

▲ 나가노현 관송원 동제 반가사유상 오른손을 잃어 현재 나무로 보수 하였는데 반가사유형을 나타내였던 본래의 모습과 다르게 손모양을 처리하였다. 그 외에는 원형을 잘 남기고 있다. 상의 아래쪽에 턱이 나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대좌에 끼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서산 마애불에 보이는 반가사유상이나 단석산 신선사 마애 반가상 모두 대좌와 광배를 갖추었기 때문이다.

▲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 단석산 신선사 석굴의 전경 서쪽에서 굴을 바라다본 모습. 「동경잡기」에 "有巖屹立 高百餘尺"이라 특기하고 있듯이 높이 829미터의 단석산 정상 서남쪽 아래에 4개의 커다란 바위가 병풍을 두른 듯 솟아 천연의 석실을 이루고 있는 이곳이 신선사의 옛 터이다. 그림에서 왼쪽(向左)이 북암인데 이 북암은 두 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앞쪽 바위에 반가사유상을 비롯한 여러 상이 새겨져 있고, 안쪽 바위에는 이 석굴의 주존불인 여래 입상이 새겨져 있다. 큰 나무가 비껴 서 있는 오른쪽(向右) 바위가 남암으로 이곳에는 신선사란 명문과 보살 입상이 새겨져 있다. 그림의 중앙에 보이는 바위가 보살 입상이 새겨진 동암이다.

▲ 신선사 석굴의 북암(제2) 마애 불상군(부분) 북쪽 바위 가운데 굴 안쪽에 주존불이 새겨진 바위를 북암 제1이라고 하고 그 바깥쪽에 나란히 서 있는 바위를 북암 제2라고 한다. 이 바위에는 모두 불, 보살 인물상 등 모두 7구가 새겨져 있다. 굴을 향해 제일 안쪽 벽에 반가사유상이 있고 이어서 여래상 3구가 새겨 있는데 왼손이 모두 반가상 쪽으로 향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 경주 남산 금동 반가사유상 우리나라에서 으뜸가는 국보 제83호인 미륵반가상이다. 이 금동상의 출토지에 대하여는 여러 설이 전하고 있으나 최근까지의 현지 조사에 따르면 경주 남산의 선방골 곧 배리 삼존 석불(보물 제63호)이 서 있는 부근에서 출토되었고 그곳에서 개울을 건너 망월사 경내의 주지실터라고 일컫는 곳에 잠시 봉안되었다고 전한다.

▲ 경주 남산 금동 반가사유상(부분) 이 금동 반가사유상은 그 세부 양식에서 일본 광륭사에 있는 목조 반가사유상과 서로 깊은 관련을 맺고 있어 좋은 대조가 된다.

▲ 경도 광륭사 목조 반가사유상 이 목조 반가사유상은 해방 뒤 일본 학자와 우리 학자들의 연구에서, 신라에서 고신라 말기에 일본에 건너와 오늘까지 보호되고 있는 신라 작품으로 의견이 일치되고 있기도 하다. 지금 이 반가사유상은 수리를 한 뒤의 모습으로 일본 불상의 얼굴로 바뀐 느낌이 든다.

▲ 수리하기 전의 광륭사 목조 반가사유상 이 사진은 19세기 말엽에 보수를 하기 전 모습으로 광배와 병풍처럼 펼쳐 있는 배경 장식, 그리고 따로 만들어 목에 건 영락장엄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 경주 성건동 출토 금동 반가사유상 비록 크기는 작지만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상체가 알몸이며 아이 얼굴 모습 등 국보 제83호와 친연성이 엿보인다. 높이 14.1센티미터.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 안동 옥동 출토 금동 반가사유상 뒷머리에 솟은 큼직한 광배꽂이가 이 상의 인상을 특징짓고 있으나, 양 어깨를 덮은 보발, 부채살 모양의 옷주름 등 전반적으로 도식화한 느낌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반가상이 손가락 끝을 살며시 뺨에 대고 있는 데 비해 이 상은 손가락을 모아 턱을 괴고 있는 점이 조금은 이채롭다. 높이 13.6센티미터.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 양산군 물금면 출토 청동 반가사유상 상 전면에 파아란 녹이 슬었으나 크기도 한 자에 가까운 당당한 규모이고 또 세부 표현도 정교한 작품이다. 왼발을 받치고 있는 족좌(足座)가 일반적인 연화좌가 아니고 연꽃잎 모양인 점이 특이하다. 높이 27.5센티미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충주 봉황리 마애 반가사유상 남한강이 내려다보이는 햇골산 중턱에 있는 이 마애군상은 미륵 신앙 가운데 상생 신앙과 하생 신앙을 모두 보여 주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곧 미륵보살과 여래의 두 모습이 한 곳에서 동시에 조성된 것이다. 반가사유상이 보살상으로 조성되었는데 아깝게도 머리 부분을 잃고 있다.

▲ 봉화 북지리 출토 석조 반가사유상 비록 허리가 잘려 하반신만 남아 있어 안타깝지만 현재의 크기로 미루어볼 때 복원치는 250센티미터가 넘는 대단히 큰 반가사유상이었으리라 추정된다. 현존하는 반가상 가운데 불교 문화권에서는 가장 크다고 하겠다. 신체의 비례나 조형성도 매우 뛰어난 작품으로 조성 연대는 아마도 통일이 완성된 7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현재 높이 1.5미터. 경북대학교 박물관 소장.

▲ 문경 관음리 석조 반가사유상 삼국 통일의 중요한 교통로에 자리잡은 절터에서 발견되었다. 원각상이 아니나 편평한 바위에 높은 돋을새김으로 반가사유상을 조각하였는데 마멸이 심해 세부 양식을 뚜렷하게 살필 수 없어 아쉽지만 조성 연대는 7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 주목된다.

▲ 국보 제83호 금동 반가사유상과 광륭사 목조 반가사유상 목조상이 크기도 조금 크고 조성 연도도 조금은 앞설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세부 양식에 있어서는 두 상이 놀랄만큼 일치하는 점이 많아 감탄을 자아내고 있다.

▲ 파리 기메박물관 소장 금동 반가사유상 동양의 미술품 소장으로 유명한 파리의 기메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반가사유상은 그곳 설명에 따르면 6, 7세기 백제작이라 한다. 높이 15센티미터.

▲ 금동 반가사유상 오른쪽 팔목이 떨어져 나갔다. 전체적인 형식은 역시 신라불의 양식을 따르고 잇으나 도식화가 많이 진행되었다. 신라 7세기. 높이 9.2센티미터.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 삼화령 석조 미륵삼존 본존과 두 협시보살을 각각 따로 조성한 이 불상은 「삼국유사」의 기록에 보이는 충담사가 3월 3일과 9월 9일에 차공양을 올렸다는 설화가 얽힌 경주 남산 삼화령의 미륵삼존으로 추정된다.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 금동 반가사유상 고개를 깊이 숙이고 손바닥으로 턱을 괸 모습이 다른 반가사유상보다 매우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마치 심한 고뇌에 빠진 듯한 느낌을 갖게 하는데 이러한 자세는 우리들 자신의 실제 모습에 가까운 모습이 아닌가 싶다. 높이 17.1센티미터. 17.1세기 높이 17.1센티미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posted by 황영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