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황영찬

Tag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2014-029 무대 미술 감상법

 

글, 사진 / 최상철

1997, 대원사

 

시흥시대야도서관

EM023126

 

082

빛12ㄷ  204

 

빛깔있는 책들 204

 

최상철-------------------------------------------------------------------------

홍익대학교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무대 미술을 전공, 1982년부터 「햄릿과 오레스테스」를 시작으로 「햄릿 시리즈 3 · 4 · 5」, 「Taxi, taxi」, 「라쇼몽」, 「Emperor Jones」, 「상화와 상화」, 「끽다거」 등 주로 표현주의 계열의 연극 무대와 「묵향」, 「비상」, 「혁명시대」, 「사랑과 죽음」 등 현대 무용의 무대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91년, 1995년 「르라하 콰드리엔나레」, 「'93 Asia Scenography 초대전」, 「서울 천도 600주년 기념 '94무대 미술가 8인 초대전」에 출품한 경력이 있다. 또한 「극공간에 있어 아돌프 아피아의 심미성 원리에 대하여」라는 학위 논문을 비롯하여 각종 논문 10여 편을 발표했다. 현재는 OISTAT(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Scenographers, Theatre Architects & Technicians) 한국 이사로 활동중이며 계원조형예술전문대학 조형과(공간연출 전공)의 조교수로 재직중이다.

 

|차례|

 

책 머리에

극장과 무대 미술

현대 무대 미술의 흐름

한국 무대 미술의 현황, 가능성

우리의 지금

참고 문헌

「니벨룽의 반지」 중 '발퀴레'를 위한 아피아의 무대 스케치  유리판 위에 손가락으로 불규칙한 색을 칠해 배경에 투사해 '번개, 구름' 등을 표현하려 했던 의도가 보인다. 1892년.

「파르지팔」 중 '숲 속의 빈터'를 위한 아피아의 무대 스케치  잘라낸 막과 틈새 조명으로 숲 속의 분위기를 암시하고 있다. 1909년.

「율동 공간」을 위한 아피아의 무대 스케치  다양한 높이의 연단과 경사길, 계단, 벽들로 구성되어 '율동 공간'이라고 표제 붙인 그의 스케치들은 바그너의 음악극을 위해 그렸던 상징적이며 신낭만주의적인 그림과는 달리 건축적인 정격이 보인다. 1909년.(위, 아래)

「파르지팔」을 위한 아피아의 무대 스케치  1908년.

「율동 공간」을 위한 아피아의 무대 스케치  1910년.

「디도와 아에네아스」  크레이그의 최초 연출작. 크레이그의 스케치는 어떻게 하면 공간을 아름답고, 단순한 색채 효과로 극적 상상력을 극대할 것인가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1905년.

「계단들」  '역동적인 연극'의 기본 구상으로 인간, 공간 그리고 광선의 장면적 관계를 암시적으로 보여 주기 위한 크레이그의 무대 스케치. 1905년.

「움직이는 장면들」  무대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변환 가능하게 그렸던 것으로, 어떤 속도나 방향으로도 공간을 변화시켜 무대 스스로가 극적 환경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창안이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1907년.

입센의 「북극으로의 출정」을 위한 크레이그의 무대 스케치  크레이그는 어떻게 공간을 꾸밈없이 아름답게 그리고 조명 효과로 공간을 살아 있게 할 수 있는지를 발견하였으며 그러한 암시 속에서 새롭고 자유로운 공간의 힘을 발견하였다. 1903년.

오스카 와일드의 「살로메」를 위한 펜 드로잉  비어즐리. 아르 누보 양식의 주된 특징은 오브레이 비어즐리, 윌리엄 모리스의 그림과 같은 독창적인 선과 세기말적 선정성이 두드러진 긴 곡선, 단정한 비례, 화초처럼 섬약한 형태미를 강조하여 모든 대상체들을 근본적으로 양식화하는 데에 있다. 1892년.

「기관차 발레」를 위한 데페로의 무대 스케치  물질과 기계라는 유물적 사관에 따라 발레리나들을 기계적이며 전형적인 사물로 취급, 극화시키고 있다. 1918년.

「부정한 아내와 관대한 남편」을 위한 포포바의 무대  루보우 포포바는 연기자들에게 일종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미학적 차원의 물질적 생산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1922년.

트레짜코브의 「소란의 땅」을 위한 포포바의 무대 스케치  조립식으로 비탈진 바닥, 층계, 회전 풍차 등을 설치하여 남편의 질투 어린 육체 언어를 급회전하는 회전 풍차를 통하여 표현하였고 이동 가능한 침대, 발코니 등을 설치하여 연기자의 감정에 따라 변화하게끔 구성하였다. 1923년.

알렉산더 폰 수호보 - 코발린의 희극 「타렐킨의 죽음」을 위한 스테파노바의 무대 장치  최소한의 수단을 써서 최고의 표현력에 도달하려는 이러한 일련의 노력들은 구성적인 무대 장치의 개발을 촉진하였다. 모스크바. 1922년.

「목요일이란 남자」  알렉산더 베스닌. 모스크바. 1923년.

「신랑이 발가벗긴 신부」  마르셀 뒤샹. 유채, 유리와 납철사, 인간이라는 물체에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 뒤샹은 이 작품에서 추상 - 기계적인 형상, 젊은이 - 기계들을 그렸다. 1923년.

「옷걸이」 만 레이. 여성적인 부분을 칠로 된 막대로 연결하였다. 1920년.

「장례식」  게오르그 그로츠. 유화. 독일 베를린 - 다다주의 예술가들의 작품에는 사회적인 상징성을 가진 인물들이 많이 등장한다. 특히 전쟁 불구자는 다다의 작품에 강박적으로 등장한다. 1917년.

「우리 시대의 정신」  라울 하우스만. 입체 콜라주. 머리가 텅 빈 것 같은 독일인들의 얼빠진 모습을 담은 이 작품은 매우 특별한 메타포를 갖고 있다. 1921년.

움직이는 구조물 초안  모흘리 나기. 모흘리 나기는 1923년부터 바이마르 바우하우스 금속 공방의 마이스터로 있으면서 예술과 기술의 통합을 꾀하였던 만능 예술가이다. 1928년.

「인간과 형상」 중 '인간과 공간'과 '자아와 공간'에 관한 도해  오스카 슐레머. 슈라이어의 후계자가 된 슐레머는 1923년부터 6년 동안 바우하우스가 문을 닫을 때까지 무대 작업과 실험 무대를 지휘하였다. 1924년.

「3조 발레」 3부 및 12장을 위한 등장 인물 계획  오스카 슐레머. 슈투트가르트. 1부 레몬처럼 노란 무대에서 유쾌하고 익살스러운 발레, 2부 장밋빛 무대에서 장중하게 이루어지는 엄숙한 발레, 3부 검은 무대에서 신비하고 환상적인 발레. 1924년~26년.

「3조 발레」 중의 등장 인물  오스카 슐레머. 1925년.

「3조 발레」  오스카 슐레머. 슐레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2명의 남자와 1명의 여자 무용수로 구성되어 있는데 3이란 숫자는 집합의 시작과, 단수인 나와 이원성의 상반을 의미한다. 배우들의 대칭적이고 비대칭적인 독특한 조형적 의상들은 인체에 어떤 물리력을 주며 이러한 힘은 인간을 기계적으로 조직화하는 효과를 가져다 주었다. 장대 무용(1927년, 위) · 공간 무용(1927년, 가운데) · 바퀴 무용(1928~29년, 아래)

「무대 컴포지션」  칸딘스키. 음악을 들으면서 머리에 떠오르는 형상들을 작품에 응용하였다. 기하학적인 모습을 한 인간들이 나오는 두 개의 시퀸스를 추상적으로 처리한 이 그림은, 거의 20년 동안 작업하였던 「컴포지션」 시리즈의 결과이기도 하다. 1928년.

「형태, 색채, 광선 그리고 음으로 된 놀이」를 위한 무대 초안  로만 글레멘스. 데시우. 단색과 줄친 평면들이 정확한 계산과 계량에 따라서 역동적이고 구성적인 기능을 하게끔 계획된 것이다. 1929년.

크레네크의 「조니는 연주한다」를 위한 무대 초안  로만 클레멘스. 데사우. 이 연극에서는 차갑고 감동이 배제된 건축 구조를 원용하기도 하였다. 1928년.

「해변의 아인슈타인」  로버트 윌슨. 베니스. 1976년.

「아침의 재판(The Greatday in the Morning)」  로버트 윌슨. 파리, 1982년.

「트리스탄과 이졸데」  아돌프 아피아. 1892년.

「니벨룽의 반지」 중 '발퀴레'  패트리스 체리우, 1988년.

원각사  우리의 극장사는 1902년 로마 콜로세움을 본떠 만든 원각사로부터 시작된다.

「파우스트」 최연호. 유작, 1996년.

 

 

 

 

posted by 황영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