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황영찬

Tag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2011. 6. 23. 10:41 내가 읽은 책들/2011년도
2011-063 전각

글, 사진 / 김태정
1994, 대원사



시흥시 대야도서관
EM013072

082
빛12ㄷ 30


빛깔있는 책들 30

김태정------------------------------------------------------------------------

1938년 대구 태생으로 서울대 문리대 국문과와 중국 문화대 예술대학원 미술과를 졸업했다. 국전 특선, 한국 미협전 금상,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파리 그랑빨레, 일본 아사히 신문 기획 초대 개인전을 가진 바 있다. 대한민국 미술대전, 동아미술제, 목우회 공모전 등의 심사위원을 지냈고, 한국서예협회 초대 이사장을 역임했다. 서예가이면서 화가, 수필가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 미대에 출강하고 있다.

|차례|

전각이란 무엇인가
상형문자의 아름다움
   기록을 위한 문자 발생
   기록 보전을 위한 새김질
   미를 추구한 문자 구성과 인신(印信)
전각의 창조
   고새(古鈢)
   일반적 의미의 전각
전각의 기법
   용구의 조건
   재료의 선택
   조형 의식의 함양
참고 문헌
용어 해설




▲ 상형문자

▲ 설형문자

▲ 설형문자판(점토, B.C. 19세기, 높이 13cm, 앙카라 고고미술관 소장)

▲ 상형문자에서 설형문자로

▲ 죽간

▲ 목간

▲ 거연에서 발견된 한대의 목간

▲ 중국 장사마왕퇴 3호 출토 백서 중 '춘추사어'

▲ 갑골문

▲ 태산을 오른 명사들이 글을 써 놓은 당마애

▲ 석고문

▲ 반구대의 암각화(岩刻畵) 경남 울주군에 있는 이 암각화는 우리나라 석문의 한 예이다. 분명한 문자 구성은 되어 있지 않으나 산중 바위에 새겨진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 마애불상 신라시대에는 경주 일원의 마애에다 많은 불상을 새겼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글씨가 남아 있는 것은 매우 적다.

▲ 광개토대왕 비

▲ 광개토대왕 비문 실물 탁본
▲ 광개토대왕 비문과 탁본 지금까지 조사된 우리나라 석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씨는 1980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성행하고 있는 예서체의 하나이다.

▲ 신라 석비

▲ 신라 서기석(誓記石)

▲ 낙관

①박팽년 ②성삼문 ③정약용 ④김홍도 ⑤신윤복의 낙관

중국 은대와 한 ∙ 위 ∙ 진의 관인 낙관

▲ 徐三庚의 작품

▲ 黃士陵의 작품

▲ 吳昌碩의 작품

▲ 趙之謙의 작품

▲ 朝鮮國王之印

明成皇后玉寶

▲ 조선왕조의 관인

비치와 대나무와 옥 등으로 만든 인장공예품들.

▲ 초형인(肖形印)

▲ 초형인(肖形印) - 난(蘭)

▲ 초형인(肖形印) - 동행(同行)

▲ 초형인(肖形印) - 차를 마시듯이

▲ 초형인(肖形印) - 여유(餘裕)

▲ 古璽

▲ 봉니인(封泥印)

▲ 성명인(姓名印)과 아호인 - 청전 이상범

▲ 성명인 - 신윤복

▲ 성명인 - 김정희

▲ 성명인 - 신조리(중국)

▲ 성명인

▲ 백문인

▲ 주문인

▲ 호인

▲ 측관(側款)
편의상 방각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도장의 측면에 새긴다하여 측관이라고도 한다.

▲ 악관법(握管法) 집도에서 한꺼번에 손으로 도간(刀)을 잡는 법을 말한다, 선이 굵고 큰 도장을 새길 때 주로 사용한다.

▲ 쌍구법(雙拘法) 집도에서 두 손가락만으로 잡는 법을 쌍구법이라 한다. 이 법은 세밀하고 까다로운 작업을 할 때 사용한다.

▲ 篆刻 印材

▲ 여러 가지 인재의 뉴(鈕) 뉴(鈕)란 도장의 손잡이라는 뜻으로 사진은 입체뉴들이다.

▲ 여러가지 재질의 인장



▲ 청전석(靑田石)

▲ 수산석(壽山石)

▲ 계혈석

▲ 창화석(昌化石)

▲ 전황석(田黃石)




▲ 靑田朱砂皮蛋靑

▲ 수산석 마육동

▲ 印章石材

▲ 여러 가지 뉴의 예


▲ 오창석의 전각과 측관

▲ 제백석의 전각과 그림















posted by 황영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