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황영찬

Tag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2018. 7. 20. 17:14 내가 읽은 책들/2018년도

2018-034 윤내현 교수의 한국고대사

 

 

윤내현

1993, 삼광출판사

 

시흥시대야도서관

EM003256

 

911.02

윤193한

 

논란이 많은 한국고대사

 

무엇이 잘못되어 있으며 어떻게 고쳐져야 하는가? 한국고대사와 중국고대사 연구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 업적을 쌓은 윤내현 교수가 일반 독자들을 위하여 한국고대사를 알기 쉽게 서술하였다.

 

현실의 상황이 지난날의 역사에 의해서 규정되고, 현실의 모순과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기치관도 지난날의 역사에서 그 기본적인 것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한국고대사는 한민족 고대의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등을 이해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그 기초가 된다. 그러므로 한국고대사에 왜곡이나 오류가 있다면 한민족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계속해서 시행 착오를 범하게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고대사는 - 다른 시대사도 마찬가지지만 - 진실되고 공정한 것이어야 한다.

 

윤내현

 

단국대학교 문리대 사학과와 同대학원을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연구했다.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외무고등고시 시험위원, 국사교육심의위원 등을 역임했고 일석학술상을 받았다. 고대사 서술의 잘못된 점을 지적하고 이에 항의, 국사교육심의위원직을 사퇴하였다. 그간 민족사 바로잡기 운동에 앞장서 왔으며, 현재 단국대학교 문리대 사학과 교수 겸 同대학교 중앙박물관장으로 있다. 문학박사 · 철학박사.

저서에는 『商王朝史의 硏究』『中國의 原始時代』『商周史』『韓國古代史新論』『商文明』『韓國古代의 國家와 社會』(共著) 『中國의 天下思想』(共著) 등이 있고, 한국고대사와 중국고대사 관계의 논문 수십 편이 있다.

 

차례

 

서문 - 독자들에게 -

 

제1장 原始時代

 

            제1절 무리사회

                     1. 무리사회의 성격

                     2. 무리사회의 자연환경

                     3. 한반도와 만주의 무리사회 유적

                     4. 무리사회의 문화

 

           제2절 부락사회

                     1. 부락사회의 성격

                     2. 자연환경의 변화와 농경의 개시

                     3. 한반도와 만주의 부락사회 출현

                     4. 부락사회의 문화

 

           제3절 부락연맹체사회

                     1. 부락연맹체사회의 성격

                     2. 부락연맹체사회의 역사적 의의

                     3. 한반도와 만주지역의 부락연맹체 사회 형성

                     4. 부락연맹체사회의 문화

 

제2장 古朝鮮時代

 

          제1절 古代國家의 출현

                   1. 民族史話의 이해

                   2. 古朝鮮의 건국

                   3. 古朝鮮의 영토

  

          제2절 古朝鮮의 정치

                   1. 古朝鮮의 통치조직

                   2. 古朝鮮에서 韓의 지위

 

        제3절 古朝鮮의 경제와 사회

                 1. 古朝鮮의 경제

                 2. 古朝鮮의 사회

 

        제4절 古朝鮮의 대외관계

                 1. 古朝鮮과 이민족의 관계

                 2. 箕子 · 衛滿朝鮮 · 漢四郡의 흥망

 

       제5절 古朝鮮의 문화

                1. 古朝鮮의 사상과 예술

                2. 古朝鮮의 금속기술

 

제3장 列國時代

 

      제1절 古朝鮮의 붕괴와 列國時代의 개시

               1. 古朝鮮의 붕괴

               2. 列國時代의 개시

 

     제2절 夫餘의 정치와 대외관계

              1. 夫餘의 정치

              2. 夫餘의 대외관계

 

     제3절 高句麗 초기의 정치와 세력확장

             1. 高句麗 초기의 정치

             2. 高句麗의 성장

 

     제4절 挹婁 · 東沃沮 · 東濊 · 崔氏樂浪國 · 帶方國 · 靺鞨

              1. 挹婁

              2. 東沃沮

              3. 東濊

              4. 崔氏樂浪國 · 帶方國 · 靺鞨

 

     제5절 韓의 정치와 사회변화

              1. 韓의 정치

              2. 韓사회의 변화

 

     제6절 百濟 초기의 정치와 세력확장

              1. 百濟 초기의 정치

              2. 百濟의 성장

 

     제7절 新羅 초기의 정치와 세력확장

              1. 新羅 초기의 정치

              2. 新羅의 성장

 

     제8절 加耶

              1. 加耶의 정치

              2. 加耶의 대외관계

 

     제9절 列國時代의 경제와 사회

              1. 列國時代의 경제

              2. 列國時代의 사회

 

     제10절 列國時代의 문화

              1. 列國時代의 사상과 학술

              2. 列國時代의 자연과학

 

     索引

 

고조선 초기의 채색질그릇 : 遼寧省 夏家店 下層文化 출토

帳下督 冬夀 : 안악 제3호 무덤의 문지기

안악 제3호 무덤의 남자 주인공 : 고구려 4세기 중엽

덕흥리 벽화고분 : 무덤 주인공인 鎭에게 보고하는 幽州의 13郡 太守 행렬도, 고구려 서기 408년. 이 그림은 고구려가 5세기 초에 중국의 동북부 燕郡, 范陽, 魚陽, 上谷, 廣寗, 代郡, 北平, 遼西, 昌黎, 遼東, 玄莵, 樂浪, 帶方 등지를 지배했음을 알게 한다.

금제관 장식 : 백제 무열왕릉 출토 - 충청남도 공주군 공주읍 송산리.(위 : 왕관, 우 : 왕비관)

무열왕릉 현실 내부

황남대총 출토, 신라 금제유물 : 경상북도 경주시. 위 : 금관, 아래 : 허리띠와 장식

황남대총 전경 : 신라 5세기 전반기, 1973~4년에 발굴되었음.

가야유물 : 경상북도 고령군 지산동 32호 무덤 출토(위 : 금관, 아래 : 투구와 갑옷)

고령군 지산동 32~35호 무덤 발굴전경

뾰족끝석기 : 평양시 상원군 흑우리 검은모루유적 출토

역포사람 복원상 : 평양시 역포구역 대현동 유적

승리산사람 복원상 : 평안남도 덕천시 승리산유적

만달사람 복원상 : 평양시 승호구역 만달리유적

홍수굴 제2사람의 머리뼈(왼쪽, 이융조 교수 제공), 홍수굴 제2사람 복원상(오른쪽) : 충청북도 청원군 노현면 가덕리 홍수굴유적(이융조 교수 제공)

부락사회의 움집 복원도 : 함경북도 선봉군 굴포리 서포항유적 3호집자리

타래무늬 질그릇 : 서포항유적 출토

새김무늬 질그릇 : 서포항유적 출토

조각품 : 서포항유적 출토

갈돌판과 갈돌봉 : 평안남도 온천군 운하리 궁산유적 출토

탄화된 곡물 :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유적 출토

그물추 : 평양시 삼석구역 호남리 남경유적 출토

女神頭像 : 遼寧省 牛河梁유적 출토

곰배괭이 :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읍 범의구석유적 출토

▲ 돼지용모양 옥장식 : 牛河梁유적 출토

옥기 : 牛河梁유적 출토

뼈피리 : 서포항유적 출토

청동칼 : 평안북도 용천군 신암리유적 출토

바늘과 바늘통 : 함경북도 선봉군 굴포리 서포항유적 출토

탄화된 곡물, 벼 · 조 · 수수 · 콩 · 기장 : 평양시 삼석구역 호남리 남경유적 출토

청동 별도끼 : 황해도 송림시 석탄리유적 출토

점뼈 : 무산읍 범의구석유적 청동기층 출토

청동토시 : 함경북도 북청군 토성리유적 출토

고인돌 : 황해도 은율군 관산리

비파형동검 : 遼寧省 旅大市 甘井子区 崗上墓 출토

나무후치 : 평안북도 염주군 주의리유적 출토

세형동검 : 황해도 재령군 고산리유적 출토

청동도끼 : 황해도 신계군 정봉리유적 출토

부조예군도장 : 평양시 정백동 1호묘 출토

구슬(玉) : 평양시 정백동 3호묘 출토

용무늬금띠고리 : 평양시 정백동 석암리 9호묘 출토

잔줄무늬청동거울 : 함경남도 함흥시 회상구역 이화동묘 출토

농경무늬청동기 : 충청남도 대전시 괴정동묘 출토

나팔모양청동기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동저리묘 출토

방패모양청동기 : 충청남도 아산군 신창면 남성리 출토

8수형방울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유적 출토

끌 · 괭이 · 도끼 거푸집 : 전라남도 영암군 출토

세형동검

붓대가 칠기로 된 붓 : 경상남도 의창군 다호리유적 출토

광개토왕릉비 : 吉林省 集安縣

 

 

 

 

 

 

 

posted by 황영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