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황영찬

Tag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2011. 1. 4. 17:07 서울구경(2011)

[새해 첫날 - 창덕궁 가다] 02

창덕궁 연표

-    1392년(태조 1) 조선 개국

⊙  1400년대(창건)
-    1405년(태종 5) 궁궐 조성 시작
-    1406년(태종 6) 후원 조성
-    1411년(태종 11) 금천교 건립
-    1412년(태종 12) 돈화문 건립
-    1462년(세조 8) 후원 본격 확장
-    1494년(연산 즉위) 후원 꾸밈

⊙ 1500년대(임진왜란으로 소실)
-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모두 소실

⊙ 1600년대(법궁으로 사용)
-     1610년(광해 2) 재건하여 법궁으로 삼음
-     1623년(광해 15) 인조반정으로 전각 대부분 소실
-     1636년(인조 14) 후원 옥류천에 소요정, 청의정, 태극정 건립
-     1647년(인조 25) 선정전, 대조전, 희정당 등 소실된 건물 중건

⊙ 1700·1800년대(소실과 중건)
-     1704년(숙종 30) 후원에 대보단 조성
-     1776년(정조 즉위) 후원에 규장각 설치
-     1803년(순조 3) 인정전 소실
-     1804년(순조 4) 인정전 재건
-     1833년(순조 33) 대조전, 희정당 등 소실
-     1834년(순조 34) 대조전, 희정당 등 재건
-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 성난 군중 창덕궁에 침입
-     1884년(고종 21) 갑신정변, 개화파가 고종을 관물현에 모심
⊙ 1900년대(민족 수난기와 복원)
-     1908년(순종 1) 인정전 개수
-     1910년 흥복현에서 한일합병조약 체결
-     1917년 대화재로 대조전 소실
-     1920년 경복궁의 일부 건물 헐어 대조전, 희정당 등 재건
-     1926년 대조전에서 순종 승하
-     1989년 낙선재에서 이방자 여사, 덕혜옹주 별세
-     1990~1999년 인정전 내행각·외행각 정비 및 복원
-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창덕궁의 회화나무

창덕궁의 회화나무  천연기념물

Scholar Tree of Changdeokgung NATURAL MONUMENT

돈화문 안마당 좌우에 자라는 8그루의 회화나무가 모두 천연기념물이다. 나이는 약 300~400년에 이른다. 이곳 회화나무는 1830년 무렵의 창덕궁 그림(동궐도, 東闕圖)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으로 불에 타 버린 창덕궁을 다시 지을 때 심은 것으로 짐작된다. 돈화문 주변은 조정의 관료들이 집무하는 관청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곳에 회화나무를 심은 것은 '궁궐 정문 안쪽에 괴목(회화나무와 느티나무)을 심고 그 아래에서 삼공(三公)이 나랏일을 논했다'는 중국 고사에 의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궁궐 이외에 학덕 높은 선비들이 사는 마을에 흔히 심었다. 그래서 학자나무라고도 한다.


창덕궁의 특별한 나무들

창덕궁은 자연의 흥취가 한껏 살아있는 궁궐이다. 자연 그대로인 듯 멋스러운 창덕궁으로 보이지만, 그 자연스러움에는 나무 한 그루라도 법도에 따라 심고 가꾼 배려가 숨어 있다.
돈화문 주변에는 300~400년 수령의 회화나무(천연기념물 제472호) 여덟 그루가 자라고 있다. 돈화문 주변에 회화나무를 심은 것은 이곳에 조정의 관료가 근무하는 관청들이 들어서 있었기 때문이다. 가지를 자유롭게 뻗어나가는 회화나무는 종종 학자의 기개에 비유된다.
선원전 서쪽 가까이에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가 자라고 있는 것은 선원전이 제례 공간인 것과 관련이 있다. 선원전은 역대 왕의 초상인 어진을 모시고 제사 지내는 곳이며, 과거에는 향나무의 줄기를 깎아 향을 피우는 데 주로 사용했다. 수령 750년 정도로, 창덕궁이 세워질 때 이미 어느 정도 자란 나무를 옮겨다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후원 애련지 부근에 자라는 뽕나무(천연기념물 제471호)는 양잠을 권장하기 위해 왕비가 키웠던 뽕나무 가운데 하나이다. 조선시대 왕비는 궐내에서 친히 누에를 치고, 양잠의 선인 서릉씨에게 제사 지내는 친잠례를 거행했다. 수령 400년 정도이며, 뽕나무로서는 보기 드문 노거수이다.
후원 깊숙한 곳에 자라는 다래나무(천연기념물 제251호)는 6개 정도의 굵은 줄기가 사방으로 뻗어 이리저리 엉키면서 자라는 모습이 매우 독특하다. 다래나무는 암수딴그루인데, 창덕궁의 다래나무는 수나무여서 열매가 열리지 않는다. 수령 600년 정도로, 우리나라 다래나무 가운데 가장 크고 오래되었다.


▲ 돈화문 일원

돈화문 일원 | 敦化門

Donhwamun and Vicinity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敦化門)은 왕의 행차와 같은 의례에 사용되었고, 신하들은 서편의 금호문(金虎門)으로 드나들었다. 창건 당시 이미 종묘가 창덕궁 앞에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돈화문은 궁궐의 서쪽 끝에 놓여졌다. 궁궐의 중심부가 동쪽에 있기 때문에 정문을 들어서면 동쪽으로 금천교를 건너 정전인 인정전 일곽과 연결된다. 1608년 재건된 돈화문은 2층 누각형 목조건물로 아래층은 출입용으로, 위층은 감시 전망용으로 사용되었다. 앞에 넓은 월대를 두어 출입시의 대기공간으로 사용했고, 원래는 여기서부터 종로까지 관청가가 조성되었다.


창덕궁 | 昌德宮

Changdeokgung Palace

조선조 3대 임금인 태종은 1405년에 제2의 왕궁으로 창덕궁(昌德宮)을 창건했다. 그럼으로써 수도 한양의 서쪽에는 경복궁이, 동쪽에는 창덕궁이 위치하여 균형 잡힌 도시공간을 구성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으로 서울의 모든 궁궐이 불탄 후 경복궁은 재건되지 않았고, 270여 년 동안 창덕궁이 조선 왕조 제1의 정궁으로 역할하였으며, 마지막 임금인 순종 때까지 사용된 최후의 궁궐이기도 하다. 동쪽의 창경궁(昌慶宮)과 함께 하나의 궁궐로 사용되어 동궐(東闕)이란 별칭을 갖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동양의 궁걸예제는 남북 중심축을 따라 엄격하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복궁 역시 이 제도를 따랐다. 그러나 산자락에 자리 잡은 창덕궁은 인위적인 제도를 벗어나 주변 자연지형에 순응하고 변화를 거듭하면서 가장 한국적인 궁궐이 되었다. 왕실 생활에 편리하면서도 친근감을 주는 공간 구성은 경희궁, 덕수궁 등 다른 궁궐 구성에 영향을 주었다. 1917년에 대조전을 비롯한 내전들이 불타 없어지자 경복궁의 전각들을 헐어다 옮겨 짓는 등 많은 건물들이 변형, 훼손, 철거되었다가, 1991년부터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덕궁은 조선 궁궐의 원형을 비교적 충실히 지니고 잇으며, 동궐의 후원은 한국 전통 조경의 특성과 아름다움을 가장 훌륭하게 구현한 예로 평가된다. 1997년 12월 유네스코(UNESCO)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창덕궁


세계유산

THE WORLD HERITAGE

Ch'angdokkung Palace


창덕궁(昌德宮)은 「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1997년 12월 6일 유네스코가 정한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세계유산'이란 세계적으로 뛰어나고 보편적 가치가 있어 인류 전체를 위하여 보호하여야 할 문화유산을 말하는데 창덕궁이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것은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조선의 3대 임금인 태종 5년(1405년)에 경복궁의 이궁(離宮, 궁성 밖에 마련된 임금의 거처)으로 건립한 창덕궁은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건축으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한 건축과 조경의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며 특히 왕궁의 정원인 후원(後苑)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정원으로 손꼽힌다.


▲ 금천교를 건너가고 건너오는 관람객
▲ 금천교
▲ 진선문進善門
▲ 인정전으로 가는 길
▲ 눈이 쌓인 앞마당
-계속-













posted by 황영찬
2011. 1. 4. 15:13 서울구경(2011)

[새해 첫날 - 창덕궁 가다] 01


2011년 새해 첫날 동서와 함께 창덕궁을 둘러보았다.
며칠전 눈이 많이 와서 눈쌓인 고궁은 운치가 있고 좋았다.
영하 10도에 가까운 기온인데도 바람이 없어서인지 그다지 추위를 느끼지 못하고 관람할 수 있었다.

1. 탐방일자 : 2011년 1월 1일(토)
2. 만난 장소 및 시각 : 지하철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도보 약 5분), 10:00
3. 누구와 : 동서와 둘이서

왕에게 사랑받은

창덕궁

창덕궁은 자연환경과 탁월한 조화를 이루고 있으면서 궁궐 건축과 전통 정원의 원형을 잘 간직한 궁궐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다.
창덕궁은 동쪽에 자리 잡은 궁궐이라 하여 창경궁과 함께 '동궐'로도 불렸다. 경복궁을 보조하는 궁궐로 지어졌지만, 임진왜란 이후에는 경복궁보다 먼저 복구되어 명실상부한 조선 제일의 궁궐이 되었다. 경복궁과 마찬가지로 궁궐다운 규모와 체제를 갖추었으며, 조선 왕조의 오백 년 역사를 놓고 보면 경복궁보다 창덕궁에서 왕들이 머문 기간이 더 길다.
너른 평지 위에 직선의 축을 따라 전각들이 들어선 경복궁에서 위엄과 권위, 질서와 절제의 아름다움이 돋보였던 것과 달리, 창덕궁은 전각들이 산과 언덕 등 지형을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되고, 규모도 배치된 공간과 쓰임에 걸맞게 지어졌다. 조선시대 왕들이 창덕궁에 머무르기를 좋아했던 이유도 이와 같은 친환경적인 매력,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 공간의 편안함 때문이 아니었을까.
특히 산과 언덕에 둘러싸인 창덕궁의 후원은 조선시대 궁궐의 후원 가운데에서도 가장 넓고 경치가 아름답다. 자연의 지형지세를 그대로 따르면서 최소한의 손길만을 더하여 자연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한 솜씨가 절묘하다. 자연미를 중요시한 조선시대의 미감이 잘 드러나 있다.
정조는 왕위에 오르자마자 규장각(왕실 전용 도서관)을 설치하여 인재를 모으고 나라의 기강을 바로잡는 혁신 정치를 펴서 조선시대 문화를 가장 화려하게 꽃피웠다. 정조에게 규장각은 세종의 집현전에 버금가는 큰 힘이 되었다. 후원의 부용지에 자리한 주합루 1층이 규장각이다. 부용지에 서면 왕과 신하들이 아름다운 후원을 거닐면서 함께 시를 짓고 나랏일을 의논하는 활기차고 이상적인 모습이 절로 눈앞에 펼쳐진다.
창덕궁의 아름다움은 1820년대 후반에 그려진 <동궐도>(국보 제249호)에도 잘 드러나 있다. 동궐도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둘러싼 주변 지세와 전각, 담장, 각종 기물들을 상세하게 또한 사실적으로 그려낸 궁궐 기록화이다. 궁궐의 현재와 옛 모습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역사의 흐름 속에 변화해온 궁궐의 면모를 볼 수 있다.
창덕궁은 자연과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궁궐로 왕들의 사랑을 듬뿍 받았지만, 조선 왕조의 마지막 순간을 안타깝게 지켜본 궁궐이기도 하다. 한일합병을 결정한 조선 왕조의 마지막 어전 회의가 흥복헌에서 열렸고, 대한민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과 중전인 순정효황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였던 영왕과 부인 이방자 여사가 창덕궁에서 생활하다 생을 마쳤다.

▲ 안국역 벽에 새겨진 조각
▲ 안국역 벽면의 부조

디자인 주제 - "안국동의 옛 모습"
안국역사의 디자인 주제는 우리 고유의 전통가옥의 아름다움을 살리는 벽면 계획과 함께 '안국동의 옛 모습'을 화강석 부조에 의한 벽화로 표현하여 정거장의 특징을 나타냈습니다.


▲ 안국역 주변 안내도
▲ 안국역 3번 출구
▲ 현대사옥
▲ 현대사옥 앞에 이것은 무엇일까?
▲ 사도시 터(司導寺址)
사도사 터(司導寺 址)
Former Site of Sadosi(Gov't Office)

조선시대에 궁중의 미곡과 장(醬) 등의 물건을 맡은 관청으로 태조1년(1392) 고려의 제도를 따라 요물고(料物庫)를 설치하였다. 태종1년(1401)에는 공정고(供正庫), 세종4년(1422)에는 도관서(導官署), 세조6년(1460) 사선서(司膳署)에 흡수되었다가 세조13년(1467) 도관서를 다시 설치하였고 이후 사도시라 개칭 되었으며 고종19년(1882)에 폐지되었다.
 
▲ 주변에 떡 박물관도 있고 한국불교미술박물관도 있다.
▲ 돈화문 敦化門
▲ 창덕궁 해설 시간표
창덕궁 해설 시간표(2011년 1월 현재)

궁궐전각 09:30 11:30 13:30 15:30
후원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일반관람(궁궐전각)
   4월~10월 11월·3월  12월~2월 
 매표시간  09:00~17:30 09:00~16:30  09:00~16:00 
 관람시간  09:00~18:30  09:00~17:30  09:00~17:00

관람요금
  대인(19세~64세)   소인(7세~18세)
 개인  3,000원 1,500원 
 단체(10인 이상)  2,400원  1,200원
무료 : 6세 이하,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후원특별관람
   4월~10월 11월·3월   12월~2월
 매표시간  09:00~16:30  09:00~15:30  09:00~15:00
관람시간   09:00~18:30 09:00~17:30   09:00~17:00

관람요금 5,000원(대인, 18세 이상) / 2,500원(소인, 7세~18세)
경로우대 무료관람 및 할인제도가 없습니다.

관람요령 - 후원특별관람은 회당 100명으로 문화재 해설사의 안내에 의한 제한관광입니다.
일본어 시간은 150명 제한

# 매주 월요일은 휴궁일입니다.

▲ 돈화문의 담
▲ 창덕궁 관람권
-계속-









 
posted by 황영찬
2011-001 유기

글, 사진 ● 홍정실

1994, 대원사

시흥시종합복지회관
EM013044

082 빛12ㄷ2


빛깔있는 책들 2

홍정실

서울여자대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예학과를 졸업했으며, 대한민국 공예대전 심사위원을 역임햇다.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금속공예과 조교수로 있다.

|차례|

사진으로 보는 유기
한국의 유기
  전통 유기
  유기의 내력
전통 유기 만드는 법
  주물 유기
  방짜 유기
  안성 유기의 내력
유기의 종류
  제기류
  반상기류
  생활 용구류
  악기류
  불구류
참고문헌
















posted by 황영찬